본문 바로가기
  • Find My Hobby
반응형

전체 글32

[Blog Value up] 블로그의 Header에는 뭐가 추가되어야 하나? 블로그의 Header에는 검색과 관련된 여러가지 내용들이 추가됩니다.  이 항목들은 Google Search console, google adsense, 네이버 검색등 반드시 연결해야 할 것들이 있습니다. 모든 사용자가 동일하게 적용하는 코드가 아니라 개인별로 받는 정보이므로 과정을 정리해보고자 합니다.  1. Google Search Console    Search Console은 블로그의 글이 구글 SEO에 적합한지를 확인하고 구글 검색에서 보일수 있도록 등록하는 기능을 하고 있습니다. 열심히 작성한 글이 구글에 노출되지 못하면 너무 억울하겠지요. 자주 들러서 색인에 등록될수 있도록 확인해주는 것이 중요합니다.     Search Console에서 블로그 주소를 등록하면 Header에 추가해야할 항목.. 2024. 5. 1.
[Blog Value Up] 이미지에 Width와 Height가 없다고? search console에서 블로그 평가인 코어 웹 바이탈을 보면 내 블로그의 사용자 관점 점수를 보여줍니다. 여기서는 pagespeed insights 통해 여러 요소들로 페이지 최적화의 점수를 산정하고 개선 방향을 제시해줍니다. 점수가 매우 낮지요.. 기부니가 좋지 못합니다.  첫 블로그에서도 계속 눈에 띄는 항목이 있었습니다.    주로 이미지는 화면을 캡쳐하여 붙여넣는데 사이즈가 명시되어 있지 않다고 하네요. 그도 그럴것이 이미지를 불러오는 것이 아니라 캡쳐로 저장된 것을 ctrl + V로 넣은 것이라 HTML 코드상에서도 width와 height 정보는 없는 상태입니다.  Width와 Height 정보가 없다면??따라서 google에서는 이미지를 불러오고 표시하는데 시간이 많이 걸리게 될 것입.. 2024. 4. 28.
두번째 애드센스 승인(신청 1회에 바로 승인!) 첫번째 블로그를 약 2년간 운영한뒤 두번째 블로그를 만들어보았습니다.  첫번째 애드센스때는 첫글을 올리고 5번 정도 거절되었던걸로 기억합니다. 하지만 두번째 블로그는 첫글을 올리고 바로 애드센스를 신청하였고, 정확히 2주가 걸렸지만 첫 신청에 바로 승인이 되었습니다. 게시글은 매일 1개씩 올리지도 않았고 몰아서 쓴것을 더해 총 10개 였습니다.  준비했던 내용들을 정리해 볼까 합니다.  1. 블로그 방향 설정    두번째 블로그는 첫번째 블로그에서 주제가 너무 잡다하게 가는것 같아서 취미 관련된 부분만 추려보기로 했습니다.  첫번째 블로그에서 일부 자료는 비공개 또는 삭제를 진행하고 두번째 블로그로 옮겼습니다. 따라서 블로그 별로 방향성을 잡고 자료를 올려보고자 합니다.     다만 수익형 블로그를 원하.. 2024. 4. 28.
[coffee] 드립백 커피 맛있게 내려보자 헤이리의 커피숍 르시랑스를 다녀왔습니다. 마침 드립백 커피를 24개에 1만원에 팔고 있더군요. 커피맛을 조금씩 알아가는 과정에서 드립백도 좋은 도구가 될것같아 24개를 구입해봤습니다. 언제 어디서나 쉽게 내려먹을수 있는 드립백을 어떻게 내려야 본연의 맛을 살릴수 있을까 알아보았습니다. 1. 드립백 이란?    컵에 걸쳐 원두를 간편히 내려먹는 방법으로 10g 정도의 원두와 필터가 같이 있는 구조입니다. 언제 어디서나 간편히 커피를 마실수 있는 방법입니다. 원두가 있다면 필터/파우치를 구입하여 준비한 원두를 넣고 밀봉하는 방법이라 선물도 가능합니다. 원두를 갈아서 넣어둔 것이기 때문에 밀봉이 되었더라도 빨리 먹어주는게 중요합니다.  2. 추출방법 키워드    1) 커피양 : 10~12g 정도 (핸드드립은 .. 2024. 4. 27.
[Blog value up] CLS 0.1 초과? 모바일 페이지 표시안됨? 반응형 페이지로 대응하자 Google Search Console로 페이지를 보다보면 다양한 상황과 마주하게 됩니다. 제 블로그에서는 코어 웹 바이탈 특성에서 CLS가 0.1을 초과된 사이트가 다수 보였습니다.    Google Search Console에서 말하는 CLS는 무엇인가?CLS는 누적 레이아웃 변경으로 표시 영역에서 표시되는 콘텐츠의 양과 영향을 받는 요소가 이동한 거리를 결합해서 콘텐츠의 불안정성을 측정한다고 정의하고 있습니다. CLS 점수는 콘텐츠 이동 양과 이동 정도를 계산한 단위가 없는 값이라고 합니다. 구글에서는 아래와 같이 잘못된 CLS의 원인을 정의하고 있습니다. 특히 크기가 지정이 안되어 있는 이미지나 iframe들이 문제가 됩니다. 따라서 크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반응형 웹으로 수정이 필요합니다. .. 2024. 4. 20.
[Blog Value Up] 서치 콘솔 - 현재 색인이 생성되지 않음?! HTML을 확인하라!! 주기적으로 서치 콘솔을 들어가봅니다.  매번 저 많은 숫자의 포스팅이 왜 색인이 생성되지 않을까 많은 고민을 했습니다. 포스팅 숫자가 300개에 가까운데 왜 40개가 넘은 글은 색인에 거부를 당할까?? 저 포스팅도 알려지면 좋은 글들인데... 왜... 많은 고민끝에 해결 방안을 찾았습니다.  해결방안 : HTML을 확인하라 제 블로그의 글로 예시들 들어보겠습니다.  이 부분을 보면 친철하게 FRED 의 링크를 같이 첨부하였습니다. 첨부된 링크를 HTML로 들어가서 보겠습니다.   Tag를 이용하여 만들어진 바로가기 창이 보입니다. 이 부분이 사용성에는 좋을지 몰라도 구글 검색 등록에는 방해가 되는 부분입니다.  따라서 저는 해당 부분을 삭제하고 링크 주소만 올리거나 문자위에 hyperlink로 연결을 해.. 2024. 4. 19.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