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Find My Hobby
반응형

전체 글32

[coffee] 커피의 가공방식이 중요해? - 네츄럴, 워시드, 허니, 무산소 발효 커피를 시작한지 얼마 안되어서 아직까지는 위시드만 열심히 먹어보고 있습니다. 먼저 한가지를 충분히 먹어보면 다른 부분을 잘 느낄 수 있지 않을까요? 일단 열심히 먹으면서 이해해보겠습니다.  앞에서 커피의 이름을 구분할때 품종도 중요하지만 가공 방식에 따라 맛과 향의 차이가 난다는 것을 보셨습니다. 맛을 접근하는게 글로 하는건 아니겠지만 이해를 하고 있다면 조금더 재밌게 즐길수 있지 않을까요? 1. 네츄럴(Natural) - 자연 건조방식    커피 열매를 따서 자연광을 통해 그대로 말리는 방법이라고 하겠습니다.      가장 직관적인 방법이면서도 가장 오래된 커피의 가공방법 입니다. 햇빛으로 커피 열매를 말리고 커피 체리를 벗겨내서 생두를 얻는 방법입니다. 다른 가공을 하지 않았고, 커피체리의 당분과 점.. 2024. 4. 18.
[coffee] 핸드드립이 왜 재미있지? (변수 정리) 하리오 레시피를 보고 오셨나요?https://hobbycreator.tistory.com/7 [Coffee] 하리오 v60 커피 레시피 모음(w/ 월드 챔피언)커피 입문을 시작했는데 하리오 V60 드리퍼를 사용하는 레시피들이 많이 있더군요. 다 의미가 다르고 맛의 방향도 다르지만 어떤 것들이 있는지 궁금해졌습니다. 제목을 누르시면 유튜브 링크로hobbycreator.tistory.com 설명을 드릴때 아래와 같이 6가지를 기준으로 정리하였었습니다. 1. 필터 린싱필터를 린싱하는 이유는 종이의 맛이 물에 스며들지 않게 하기 위해서입니다. 심지어 100매짜리와 50매짜리 필터도 맛차이가 있다고 평가하시는 분들도 있습니다. 또한 어떤 레시피에서는 필터를 찬물로 린싱해야한다고 하시는 분도 있고, 뜨거운 물로 해.. 2024. 4. 16.
[Coffee] 하리오 v60 커피 레시피 모음(w/ 월드 챔피언) 커피 입문을 시작했는데 하리오 V60 드리퍼를 사용하는 레시피들이 많이 있더군요. 다 의미가 다르고 맛의 방향도 다르지만 어떤 것들이 있는지 궁금해졌습니다.  제목을 누르시면 유튜브 링크로 연결되도록 해 놓았습니다.  1. 4:6 method (2016 WBC세계 대회 우승)   - 누구나 쉽게 따라할수 있고, 맛의 편차를 줄일수 있음. 커피와 물이 45초 이상 접촉하지 않는게 핵심.   1. 필터 : 린싱 해줌.   2. 원두 : -   3. 원두량 / 물량 / 총추출시간 : 20g / 300g (1:15) / 3분 40초   4. 그라인딩 : 굵은 소금정도의 분쇄도 (프렌치 프레스용)   5. 물온도 : 90~95도   6. 푸어링 : 1) 45s 60ml                       2).. 2024. 4. 14.
[coffee] 커피 이름.. 대체 뭐라는 거야?? 커피를 조금 배워보다보니 산지, 품종/등급으로 이름을 정한다는것은 금세 알았습니다. 근데 점점 이름이 길어지면서 뭔 이름인지 이해가 안갔습니다.    The Double Ristretto Venti Half-Soy Nonfat Decaf Organic Chocolate Brownie Iced Vanilla Double-Shot Gingerbread Frappuccino Extra Hot With Foam Whipped Cream Upside Down Double Blended, One Sweet'N Low and One Nutrasweet, and Ice 위 이름이 스타벅스에서 주문할수 있는 가증 긴 이름의 메뉴랍니다.  월드챔피언이신 전주연 바리스타님이 설명해주시는 영상을 보면사 조금이나마 이해할수 있.. 2024. 4. 13.
[Coffee] 커피의 맛이란 대체 뭔가요? 저는 후각/미각이 발달하지 못한것 같습니다. 음식을 먹어도 맛을 크게 느끼는 편이 아니며 향도 잘 구분하지 못합니다. 그러던 중 커피 입문 교육을 받을 기회가 있어서 언능 신청했습니다. 강의를 들으면서 학습했던 내용을 정리해보고자 합니다.  1. 커피의 맛이란?    사람은 후각과 미각의 다양한 신호를 '복합적으로 해석'해서 "맛"이라는 것을 느끼게 됩니다.    향은 매우 종류가 다양하지만 맛은 신맛, 단맛, 짠맛, 쓴맛, 감칠맛 정도로 나뉘고, 농도는 크게 3가지 정도로 구분하죠    커피에서 맛을 구분하는 플레이버 챠트를 보면 조금 도움이 될수도 있을것 같습니다. https://liikecoffee.com/article/knock/8/57/ Counter Culture Coffee Taster's .. 2024. 4. 13.
[Music] 화음은 어떻게 구성되는걸까? 음계의 구성부터 너무 복잡하게 갔다왔는지 모르겠네요. 일단 음의 구성은 알게되었으니까 음들의 복합적으로 쓰여질때 만들어지는 화음에 대해서 알아볼까 합니다. 화음이란? 출처 : wikipedia "'높이가 다른 2개 이상의 음'이 '동시'에 울렸을때의 '합성음'"이라는 정의에서 알수 있듯이 소리의 조합을 이야기 하는것입니다. 물론 소리의 조합이 항상 좋은 것은 아닐테니 그걸 크게 2가지로 구분합니다. 1) 협화음 : 어울리는 화음 2) 불협화음 : 어울리지 않는 화음 우선 화음은 음악을 풍성하고 다채롭게 만들수 있지만 잘못 사용하면 소음이 됩니다. 화음은 어떤 기준으로 만들어지는지 원리를 보고자 합니다. 음을 물리학적인 관점으로 본다면 파동을 볼수 있으며 소리의 주파수와 크기로 분류할수 있습니다. 아래는 .. 2024. 4. 13.
반응형